목적(目的)
활이나 총을 쏠 때의 과녁, 나아가 제 스스로의 지향이 종국에 닿아야 할 곳이라는 뜻이다. 과녁이라는 단어가 순우리말일 수도 있지만, 목표로 정한 가죽(革)을 뚫는다(貫)의 뜻으로 생긴 貫革(관혁)이라는 한자어에서 비롯했다고 보인다.

활이나 총 등 살상을 위한 무기를 겨냥할 때 가장 중요한 곳이 눈일까, 그래서 그를 가리키는 눈, 즉 한자 目(목)이 등장한 것일까. 이런 의문이 생긴다.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추정이 가능한 스토리도 전해진다. 양견(楊堅)이 북주(北周)를 무너뜨리고 수(隋)나라를 세울 580년 무렵이었다고 한다.



양견에 쫓겨난 북주의 대신 두의(竇毅)라는 이가 있었다. 딸을 두고 있었는데 용모나 재주가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사내를 능가하는 용맹함도 지녔다고 한다. '누구에게 시집을 보낼까' 라는 궁리를 하다가 아이디어가 떠올랐던 모양이다. 공작(孔雀)을 그린 병풍을 두고 먼 거리에서 공작의 두 눈을 화살로 쏘아 맞히는 사람에게 딸을 준다는 소문을 냈다고 한다.

이런저런 이들이 집에 찾아왔던 모양이다. 그러나 먼 거리에서 화살로 공작 눈알 맞추기가 그리 쉽던가. 결국 다 실패하고 돌아갔는데, 한 사람이 정확하게 공작의 눈을 맞췄단다. 그 이름이 이연李淵), 나중 당나라를 세운 당나라 고조(高祖)였다. 그렇게 얻은 두씨(竇氏) 부인은 당나라 최고 전성기를 이끈 이세민(李世民)의 생모다. 그런 맥락에서 과녁의 뜻으로 등장한 글자가 目(목)이다. 그다음에 的(적)을 붙이면 目的(목적)이라는 단어를 이룬다. 的(적)은 과녁의 중심이다. 전체 과녁을 일컬었던 글자는 侯(후)다. 이 글자 안에 화살을 가리키는 矢(시)가 들어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侯(후)는 일반적으로 제후(諸侯)를 가리킬 때 등장하는 글자다. 이 글자는 과녁 전체를 가리켰다.
파일 다운로드
5402 223

댓글(55)

  • 형성경 2013.10.24 제가 참 좋아하는 프로 중 하나에요 ! 모든것은 제 마음에 달려있다는것! 모든것이 제 마음하나로 가능한데 실천하기...
  • 형성경 2013.10.24 제가 참 좋아하는 프로 중 하나에요 ! 모든것은 제 마음에 달려있다는것! 모든것이 제 마음하나로 가능한데 실천하기...
  • 형성경 2013.10.24 제가 참 좋아하는 프로 중 하나에요 ! 모든것은 제 마음에 달려있다는것! 모든것이 제 마음하나로 가능한데 실천하기...